닫기
과정 구분
과정 카테고리
태그
검색어

스모비

메인 이미지

스모비(Smovey) 진동운동 프로그램이 시니어의 신체·심리적 효과와 운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상품가격

0원

수량

정가 0원

배송금액 착불

할인금액

총 결제 금액 0

도서소개

🧩 연구 개요

본 연구는 스모비(Smovey) 진동운동 프로그램이 시니어의 신체 기능, 심리적 동기, 운동 지속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한

혼합연구(Mixed Methods)입니다.
연구는 송도건강생활지원센터 시니어 13명AWASB 최고위과정 13기 참여자 11명, 총 24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연구 방법

  • 기간: 4주 (주 2회, 총 8회)

  • 평가 도구:

    • 균형 및 이동성 평가 → BBS, TUG, FRT

    • 만족도 및 인터뷰 → 리커트 5점 척도, 반구조화 인터뷰

  • 분석 방식:

    • 정량분석: SPSS 통계검정

    • 정성분석: 인터뷰 기반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

 


📊 주요 결과

1. 정량적 결과

  • TUG(Time Up & Go):
    9.8초 → 7.6초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p<.05)
    → 하지 협응력과 보행 안정성 향상

  • BBS & FRT:
    변화 없음 (Ceiling effect로 인한 한계)

2. 정성적 결과

  • 흥미도 4.9점, 지속 의향 4.8점, 전반 만족도 4.9점 (5점 만점)

  • 공통 키워드:
    ‘재미(Fun)’ · ‘리듬감’ · ‘집단 참여의 활력’ · ‘강사 피드백’

  • 일부 참가자는 가격(약 21만 원)과 그립감, 무게 다양성의 한계를 지적.

3. 강사 피드백

  • 상지 근활성 및 균형 향상에 효과적.

  • 파킨슨병, 근감소증 등 협응운동이 필요한 시니어에게 특히 적합.

  • 스테퍼, 밸런스 패드 등 다른 도구와 병행 시 프로그램 완성도 향상 가능.

 


💡 결론 및 시사점

  • 스모비 운동은 단기간에도 보행 안정성과 심리적 몰입을 높이는 효과를 보였다.

  • 단순한 근력 향상보다는 **‘운동을 지속하게 만드는 재미와 몰입’**에 강점이 있음.

  • 향후 연구에서는 12주 이상 장기 추적, 다양한 연령·질환군 확대가 필요하다.

  • 가격·디자인 개선, 음악·리듬 결합, 복합 프로그램 구성 등이 상용화의 핵심 포인트로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