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레드코드(Sling Exercise Therapy, SET)와 만성 허리 통증 개선 효과
최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에 따르면, 슬링 운동 치료(SET)가 만성 허리 통증 환자의 통증 감소 및 기능 회복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확인되었다. 기존의 운동 요법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1. 통증 감소
SET는 무처치군 대비 유의미한 통증 감소 효과를 보였다 (MD -1.05, 95% CI: -2.82 to -0.71).
기존의 운동 방법(운동제어 훈련, 요부 안정화 운동)보다 더 높은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냈다 (MD -4.13, 95% CI: -7.82 to -0.45).
일반적인 운동과 비교했을 때, 통증 개선 효과는 유사한 수준이었다 (MD -0.14, 95% CI: -0.58 to 0.87).
2. 기능 장애 개선
SET는 운동제어 훈련 대비 기능적 장애 개선 효과가 우수했다 (MD -3.19, 95% CI: -4.63 to -1.76).
무처치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장애 감소 효과를 보였다.
3. 근육 활성화 및 근력 증가
SET는 일반적인 운동 및 무처치군 대비 코어 근육 활성도, 근력 및 근육 두께 증가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특히, 복횡근(transverse abdominis) 활성화 및 척추 신전근(trunk extensor) 근력 증가가 두드러졌다.
4.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연구에 포함된 임상시험들의 전반적인 근거 수준은 매우 낮음~중간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보다 엄격한 연구 설계가 필요하다.
연구별 SET 적용 방식이 상이하여, 표준화된 치료 프로토콜의 개발이 요구된다.
5. 결론
SET는 만성 허리 통증 환자의 통증 감소, 기능적 장애 개선, 근육 활성화 및 근력 증가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기존의 운동제어 훈련 및 요부 안정화 운동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근육 활성도를 높이는 점에서 차별적인 강점을 가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임상 근거를 확보하고, 치료 프로토콜을 표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자소개
Kjartan Vårbakken, Phys Ther, MSc, PhD-coursed, R&D Head, Redcord AS